사회생활

초보 팀장의 실수

근무시간 형 2025. 4. 21. 19:32
반응형

팀원으로 들어와 성실함과 능력을 인정받아 대리로 승진하고 과장이 되면서

몸 담았던 소속팀의 팀장까지 차근차근 올라간 친구가 있습니다.

최근 이 친구에게 시련이 닥쳤는데...오랜 시간 함께 한 팀원으로 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았노라며 진정서가 인사팀에 접수되었고, 그 진정서로 말미암아 진상조사위원회에 회부 된 것입니다.

다들 그 속을 알길 없는 타팀 사람들은 물론 대표님조차 어리둥절해있는 와중에 접수된 진정서에는 과거부터 최근까지 당해?왔던 언행들이 빼곡히 적혀 있었죠. 

그 어느 한쪽의 말만을 듣고 판단하기에는 민감한 문제이기에 양측은 물론 주변 사람들까지 인터뷰가 폭넓게 오랜 시간 진행되었습니다.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은 두 사람은 격리되어 업무를 진행하였고요.
결론은 났지만, 그 결론이 나기까지 이 초보 팀장이 놓친 실수를 되집어 정리해봅니다.

1. 친구같은 팀원

팀장이 되고 나서 의욕이 앞섰습니다. 팀을 위한 희생을 함께할 팀원들이 필요했고, 팀원들의 생각이 궁금해 알려 줄 사람도 필요했습니다. 오랜 시간 함께한 그 팀원과 이런 이야기를 허물없이 격의없이 나눴고 팀장의 생각을 주입하고 강요하기 시작합니다. 
팀원은 따랐고 그에 따라 말과 행동도 점점 변해갑니다. 어느 순간 팀장의 영역까지 넘어서고 팀장에게 본인의 생각을 강요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면서 과거에 했던 말과 행동은 다 위선이었냐며 점차 증오로 변질되기 시작하죠.
그렇게 둘의 사이는 갈라져만 가고 팀원은 팀장에게 통념상 불가능한 말들을 내뱉기 시작합니다.

"팀장님은 그정도 밖에 안되서 팀이 이 모양 인거에요"
"정신 차리세요. 과거에 제게 했던 말과 행동은 다 위선인거잖요"

이 지경까지 가니 주변 다른 팀원들도 슬슬 해당 팀원을 피하기 시작했고, 고립된 팀원은 그럴수록 더더욱 팀장에게 따갑게 대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결국 진정서가 인사팀에 접수되게 됩니다.

2. 늦은 대처와 후회

사태의 심각성을 알면서도 상사에게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내 과실로 느껴졌고 흠이 되어 부메랑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그렇게 초동진화를 할 수 있는 타이밍이 놓쳤고, 그 팀원과는 주변 팀원들도 모두 알 만큼 나빠지기 시작했습니다. 보다 적극적으로 회사 시스템을 통해 공식적으로 처리를 했다면 이렇게까지 커지지 않았을 텐데..라고 후회해도 이미 늦었습니다.

3. 타이밍

매년 성과에 대한 평가가 이뤄집니다. 팀단위로 부서단위로 성과에 따른 고과가 정해지고, 개인별 연봉도 이때 정해지게 됩니다. 팀원들의 평가는 업무적 성과와 더불어 인성 평가도 함께 이뤄집니다. 주변 팀원들과 협조는 잘되었는지, 근태는 이상없는지, 이해도와 적극적인 업무 자세 등 종합적으로 체크하여 평가를 상대적으로 매겨지게 됩니다.
이런 평가의 시간에 팀장은 그렇게 하지 못했습니다. 있는 그대로 생각한 바를 평가에 녹이지 못하고 다른 팀원들과 큰 차이를 두지 않는 선에서 항상 정리하고는 했습니다. 
굳이 이런 거 까지 매겨 상대의 마음을 다치게 하고 싶지 않았었던 걸까요...그 내막은 모르겠지만 평가 내용을 공유하는 인사팀에서는 사태의 심각성을 알아채지 못한거 보면 아마도 그런 것 같습니다.

칼도 뽑아야 그 용도를 다 할 수 있습니다.

겪을 수 있습니다. 겪을 수 밖에 없고요. 
팀장이라면 더더욱 팀원들을 데리고 성과를 내야 하기에 채찍질도 하고 당근도 먹이며 함께 일을 해나갑니다. 반감이 생길 수 있고요, 그런 팀원들을 다독이며 때로는 내치는 냉정함도 보여야 팀을 유지해나갈 수 있습니다.
초보 팀장의 실수라면 좀 더 강한 모습을 보이지 못한 것이겠죠.

권위라는 말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때로는 주어진 권위의 무게로 내 의견을 관철 시키는 법도 필요합니다.
때로는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내가 가지는 말과 행동의 파워가 상당할 때가 있습니다. 그 반대라면 우스운 꼴이 되겠지만...ㅋ
이걸 알고 써먹어야할 때를 알게 되면 좀 더 수월하게 팀 관리와 함께 갈등을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초보 팀장은 앞으로 이런 점에 대해 배우고, 또 잘 써먹을 수 있을 때가 오리라 봅니다.

 

 

 

 

 

 

 

반응형